1. 생성 = 정의하는 것.
2. 호출 = 정의한 것을 가져다 쓰는 것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}
접근제어자(modifier) -> 메모리할당 -> return타입 -> 메소드식별자(명) -> 파라미터변수타입 -> 변수명 -> {}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(1)
public :
함수를 만드는 형식을 modifier(접근제어자)라고 함.
접근제어자는 함수나 클래스의 접근 범위를 결정하는 역할
public 인지 private 인지 package 인지 확인
public : 모든 곳에서 접근 가능
private : 현재 클래스에서만 가져다 쓸 수 있다.
package : public 도 private도 아닌 접근제어자(modifier)의 기본값은 바로 package로
현재 패키지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함.
(2)
static : (영역, 메모리, 메모리 할당이 기본으로 되어있음)
stack (변수)
heap (객체)
static은 함수가 인스턴스화(함수를 객체로 만들어내는 것) 없이도 호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.
함수는 정의만 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객체가 아님.
함수를 객체로 만들기 위해서는 new 연산자를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해야 함.
main() 함수는 static으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 시작 시 자동으로 호출됨.
따라서 main() 함수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지정할 수 있음.
- 영역: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와 함수는 클래스 영역에 저장됨. 클래스 영역은 클래스가 로드될 때 메모리에 할당되는 영역.
- 메모리: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는 메모리가 한 번만 할당됨. 따라서 static 변수는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에서 공유됨.
- 메모리 할당: static으로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 시작 시 자동으로 할당됨. 따라서 static 변수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음.
(3)
void : 리턴타입이 없을 때 void를 씀. 리턴타입이 있으면 int, string 등을 씀.
리턴 타입이 있는 함수는 함수의 실행 결과를 반환할 수 있음.
(4)
main(String[] args) : 메소드(함수) 식별자
method(메소드)를 함수(function)라고 보면 됨. 실제 행위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함.
(5)
{ } : 메소드의 제어식별 범위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연습문제>
// 문제 : 주어진 값의 행의 합과 평균, 열의 합과 평균을 구하시오.
// 풀이 :
// 답 :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JAVA_PreClass_231018수> (2) | 2023.10.18 |
---|---|
<JAVA_PreClass_231017화> (0) | 2023.10.17 |
<JAVA_PreClass_231013금> (0) | 2023.10.13 |
<JAVA_PreClass_231012목> (2) | 2023.10.12 |
<JAVA_PreClass_231011수> (2) | 2023.10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