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패키지=소속>
package : 물리적인 저장소. 소속.
패키지는 첫 줄에 한번만 올 수 있고, 반드시 메뉴에 와야 함.
운영체제에서 말하는 폴더와 같은 개념이다.
그래서 패키지를 만들면 폴더가 생기는 것.
소속과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무조건 첫줄이며 import, class 위에 위치 한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클래스=틀>
클래스는 메소드와 그 안의 데이터를 묶어 하나의 객체를 만드는 설계도 라고 보면 됨.
클래스 : 객체(붕어빵)를 만들기 위한 틀(껍데기) ex) 붕어빵 틀, 붕어빵 기계
클래스(=멤버)의 구성요소 :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, 기능을 수행하는 메소드(함수)
사용을 하려면 메모리에 할당을 해야 하는데 이것을 객체화(Object Oriented Project) 시키는 것이 heap에 올리는 행위.(=instance)
객체화(OOP) 시키는 연산자가 new임.
ClassEx1 c1 = new ClassEx1();
이렇게 객체화 시키나
ClassEx1 c1 = ClassEx1.getInstance();
이렇게 객체화 시키나 같은 의미다.
static ClassEx1 getInstance() {
return new ClassEx1();
}
heap 영역 = instance 영역 (객체들이 저장되는 곳)
클래스를 메모리에 올릴 때 heap 영역에 저장됨.
객체 : 클래스로 부터 생성된 실제 인스턴스.
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음.
객체화 시킨다는 것은 class단위로 올린다는 것.
상수 = 그냥 고정값 그 자체 (변수가 아님), value임.
main() {
} // 시작점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객체지향 프로그래밍>
프로그램을 객체라는 단위로 나누고 객체들간에 상호작용 함
클래스 : 객체를 정의하는 설계도
객체 : 클래스로부터 생성된 실제 인스턴스
메소드 : 객체의 기능을 수행하는 함수
변수 : 객체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변수
// 예시 :
// 답 :
// 예시 :
// 정보를 출력할 만한 틀을 만들어 놓고,
// Main () {} 함수를 이용해 틀 안에 들어가는 내용을 만들어 실행
// 답 :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<연습문제>
// 문제 : line(cnt)의 메소드를 이용해 cnt의 값이 10 이라면 -를 10개 일렬로 출력하는 함수를 만들어라.
// 풀이 :
// 답 :
// 문제 : for문을 이용해 5행까지 숫자가 누적되는 별을 찍는 메소드를 만들어라.
// 풀이 :
// 답 :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<JAVA_PreClass_231020금> (2) | 2023.10.20 |
---|---|
<JAVA_PreClass_231019목> (0) | 2023.10.19 |
<JAVA_PreClass_231017화> (0) | 2023.10.17 |
<JAVA_PreClass_231016월> (0) | 2023.10.16 |
<JAVA_PreClass_231013금> (0) | 2023.10.13 |